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SMALL

 

1. 영유아의 일상적 질문에 기초를 둔 과학교육

 

A.영유아의 일상 속에서의 질문에 기초를 둔 과학교육의 개념 및 특징

  • 영유아는 호기심과 탐구심이 많은 유능한 학습자로서 능동적으로 주변 환경을 탐색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발생된 호기심을 다양한 질문을 통해 표현함.
  • 영유아의 질문은 탐구에 기초둔 과학교육을 위한 자연스러운 학습 맥락을 제공하며 자극적인 학습 환경을 계획, 창조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한다.
  • 영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일상적인 질문을 토대로 학습과정을 구성하는 것은 과학에 대한 영유아의 자연스러운 내적 동기 유발을 야기하며 과학을 보다 가까이 느끼게 하며 다양한 과정을 통하여 기술을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 교사는 일상에서 영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귀를 기울여 이에 반영된 영유아 들의 관심과 사고 수준을 이해라여 문제해결을 위한 영유아들의 탐구과정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영유아 들은 등원, 자유선택활동,정리정돈,이야기 나누기, 간식, 바깥놀이 및 귀가지도 등 하루의 일과에 포함되는 활동을 중심으로 과학적 질문이 생겨난다. 대부분 간과하기 쉬운 전이 활동 시에도 과학적 의문을 표출한다.

 

< 활동의 예시 >

더운 여름날, 자유선택 활동 시간에 미술영역에서 부채를 만들때

유아 A.: 우리 부채 만들자~
유아 B: 어떻게 만들어?

유아 A: 종이로 접는 거야, 잘 따라 해봐~
유아 B: 와~쉽다

유아 A: 부쳐봐~시원하지?
유아 B: 진짜 시원해~!

유아 A: 근데 종이가 약해서 흔들려, 좀 더 두꺼운 종이로 하면 좋을 텐데..
유아 B: 두꺼운 종이로 하면 진짜 더 시원해?

교사: 좀 더 두껍고 딱딱한 종이로 하면 더 시원해 질까? 궁금하다~! 선생님도 알고 싶어~

유아들: 저도 해보고 싶어요~ 해봐요!


<바람을 일으키는 부채가 시원한 바람을 만들기 위한 조건이 무엇이 있고 어떤 조건을 만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요인을 알 수 있는 실험이다.>
  • 영유아가 실제적으로 궁금해하는 것에서 실제적인 맥락에서 과학적 탐구가 이루어 지므로 영유아들이 과학을 일상과 관련된 것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 일상적인  영유아의 질문이 어느 영역에서 이루어지는지 구애를 받지 않으며 통합적 교육과정에 기처 하여 어떠한 영역에서든 과학적 탐구를 전개해 나갈 수 있다. 요리, 조형  관련 활동으로도 연관해 낼 수 있다. 
  • 영유아로 하여금 주변을 좀 더 세심하게 탐색하는 태도를 갖게 하며 자신의 생각을 여러 번 수정해 보고 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영유아 주도적이고 발 헌 적 교육활동을 전개하고 과학적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 일상적 질문에 기초한 탐구활동은 생각을 과학적으로 실행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 과정을 즐기고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다.

 

 

B. 아동과학교육의 접근 시 교사의 역할

 

교사 자신이 일상적 문제에 대한 과학적 호기심을 갖고 적극적인 태도

   -과학적 궁금증을 메모하거나 탐구심을 갖는 태도가 필요하다. 이런 태도가 바탕이 되어 영유아들의 엉뚱해 보이는 질문에 수용적 태도를 보이고 영유아와 함께 모험적인 실험들을 구성해 볼 수 있다.

 

◾ 영유아가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 궁금하다고 생각되는 것에 자유롭게 질문하고 영유아와 토의하여 알아가는 과정을 경험하면 영유아의 호기심과 과학       적 탐구심을 성장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영유아가 실행한 탐구과정을 기록하는 방법을 고안하고 제안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 영유아로 하여금 자신이 관찰하고 결론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익히고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 과학의 과정에서 중요한 기술인 의사소통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으며 구체저인

    기록의 방법은 경험 차트 만들기, 자료 기록표 만들기, 관찰일지 작성하기, 실험 과정에서 궁금한 것 목록 만들기 등이 있다.

 

◾ 자신의 생각과 질문이 얼마나 합리적이고 흥미로운지 비판적 검토를 해 볼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 영유아가 어떤 질문을 했을 경우 이에 대해 전체 영유아와 함께 토의해 보는 시간을 갖거나, 실험을 마친 후 실험 결과만이 아니라 과정에 대한 검토 과정을 보냄으로 보다 정확한 실험과 새로운 문제를 찾을 수 있으며 이런 과정을 통해 영유아의 창의적, 비판적 사고를 능력을 키워 줄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