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듀이(Dewy)는 반성적 사고는 우리의 삶 속에서 곤란하거나 혼란스러운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중시하는 연속적인 사고를 하는 것이다. 라고 했다. 이전의 일상적인 습관에 따라 행동해도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면 반성적 사고가 일어나지 않는다. 우리는 어떤 식으로든 그 상태를 해결하고자 반성적 사색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여러 학자의 반성적 사고의 개념을 찾아보고 반성적 사고의 필요성에 관해 설명한다.
여러 학자의 반성적 사고 개념
듀이 (Dewy) | - 목표지향적으로 문제의 틀을 잡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태도의 발달과 사고하는 기술을 내포한다. - 인지적 탐구뿐만 아니라 개방적인 태도와 끈질긴 태도가 필요하다. |
밴 매넌 (Van Maren) | 사고를 기술적 수준, 전문가적 수준으로 평화, 정의, 평등과 같은 도덕적, 윤리적 가치를 포함한 비판적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
쇤 (Schon) | - 듀이(Dewey)의 생각에 기원을 두고 반성과 행위로 연결되었다. - 반성을 행위 후 반성과 행위 중 반성으로 구분하였다. |
엘바즈 (Elbaz) | - 교사의 가치관을 바탕으로 교육의 현장 상황에 맞게 적용하고 재구성한 지식. - 교사의 행동 기초가 되며 일관성 있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 |
반성적 사고의 필요성
1. 교사의 사고 과정 및 신념 체계와 실천 행위를 관계를 재구성 할수 있도록 도와준다.
2. 불확실성과 애매한 교수 상황에 반성하고 문제점을 찾아내어 대안을 적용하고 개선을
시도할 수 있다.
3. 실천적 지식을 갖게 되어 전문적인 해결 방법을 얻게 된다.
4. 자율적인 의사 결정자로서 다양한 문제들을 경험 바탕으로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돕는다.
반성적 사고의 세 가지 단계 (써백과 동료들)
① 상황에 대한 반응
② 자신의 반응에 대한 분석 및 정당화
③ 분석된 결과에 따른 의사결정
반성적 사고의 과정 (써백)
|
|
반성적 사고 과정
|
개념
|
1. 반응
|
교실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황에 대해 보이는 최초의 반응을 의미
|
긍정적 느낌
|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만족이나 기쁨을 표현
|
부정적 느낌
|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불만족이나 불평을 하는 것
|
보고서
|
개인적인 관심이나 느낌을 포함하지 않고 사실만 언급
|
개인적 관심
|
교실에서 벌어진 상황에 대하여 개인적 관심을 표현
|
이슈
|
교육적 이슈, 문제, 지식을 나타내는 것
|
2. 정당화
|
자신이 보였던 반응을 설명하고 정당화하며 예를 제시함으로써 확장시키는 과정
|
구체적 정당화
|
반응을 보였던 그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확장시키는 것
|
비교 정당화
|
반응을 보였던 상황을 과거의 경험이나 다른 학급, 다른 상황과 비교하면서 최초의 반응을 확장시키는 과정
|
일반화된 정당화
|
최초의 반응을 일반적 원리, 이론 또는 광범위한 철학적 배경을 이용하여 정당화하는 과정
|
3. 의사결정
|
첫 번째 반응을 확장하고 정당화한 것에 기초하여 개인적, 전문적,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을 함
|
개인적 초점
|
개인적 차원에서 의사결정을 함
|
전문가적 초점
|
교육적 문제, 이슈, 이론, 교수 방법, 미래의 목표, 교사로서의 태도, 아이들의 능력과 특성에 기초하여 의사결정을 함
|
사회적·윤리적 초점
|
사회적 이슈, 윤리적 문제 또는 도덕적 차원에서 의사를 결정함
|
반성적 사고는 교사들이 특정한 상황에 대하여 반응을 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러한 반응은 교사가 의식적으로 그 상황을 인식함으로써 시작되는데, 그 시작이 긍정적인 느낌이나 부정적인 느낌으로 시작될 수도 있고 간단한 사실을 보고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할 수도 있다. 혹은 교사가 자신의 개인적인 문제와 연계하여 상황을 인식할 수도 있고 좀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논의를 시작할 수도 있다.
[출처] [유아교사론] 반성적 사고|작성자 선선
'보육교사자격증 2급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테소리 교육에 대한 이해 (0) | 2023.03.25 |
---|---|
보육교사2급 자격증 늦기 '전에 시작하자! '유보통합' 대비 (0) | 2023.03.22 |
유아발달 심리 (0) | 2023.03.22 |
학자들의 반성적 사고개념 (0) | 2023.03.08 |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론 (0)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