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비고츠키 Lev Semenovich Vygotsky 구소련 대표적 심리학자.
벨라루스 보르샤(Belarus Borsa)의 넉넉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성장.
부모님이 유대인으로서 풍부한 문화, 지적인 가정환경을 조성해 주었다.
그의 이러한 성장배경이 나중에 그의 사회인지론에 반영되었다.
모스크바대학교에 입학해 법학을 전공하다가, 재학 중 러시아 혁명을 경험한 그는
대학 시절에 철학, 사회과학, 심리학, 언어학, 문학, 미술 등 광대한 범위영역의 지식을 익혔다.
훗날 그의 경험이 심리학 연구에 기초가 되었다.
1918년 대학을 졸업한 뒤 고멜(Gomer)로 돌아가 교직에 종사하면서 학문을 계속한 비고츠키는 1925년에
예술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art)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24년부터 1934년까지는 모스크바 실험 심리연구소
에서 본격적으로 연구활동을 했다. 10년 정도의 짧은 연구활동 기간 속에서 발달심리학 분야를 시작으로
폭넓은 분야에서 수많은 실험적, 이론적 연구를 하다가 37세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하였다.
비고츠키의 저서는 1953년 스탈린이 사망하기까지 출판이 금지되었지만
이후 러시아 심리학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1960년대에 비고츠키의 『Thought and Language』가 영어로 번역되며
서방 심리학자들이 비고츠키에 대하여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비고츠키는 마르크스(Marx) 이론의 영향을 받아
정신활동의 사회문화적 측면에 주목했으며, 인지발달론을 중심으로 폭넓은 업적을 남겼다.
참고
" [네이버 지식백과] 비고츠키 [Lev Semenovich Vygotsky] (상담학 사전, 2016. 01. 15.,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종진, 최웅용)"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론
그의 이론은 아동의 발달을 형성하는 데 있어 사회적 상호작용과 문화적 맥락의 역할을 강조한다.
Vygotsky에 따르면, 아이들은 부모, 선생님, 그리고 또래와 같은 더 지식 있는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그들이 이용할 수 있는 문화적 도구와 통해 배운다고 말할 수 있다.
비고츠키 이론의 "근위 발달 영역"(ZPD) 이란?
아이가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것과 더 지식이 풍부한 다른 사람의 지도와 지원으로 할 수 있는 것의 차이를 의미한다.
비고츠키는 아이가 현재의 이해 수준을 넘어서기 위해 도전할 때 학습이 발생하고 어른이나 더 발전된 또래에 그룹을 통해 의해 그들의 노력이 뒷받침된다고 믿었다.
스캐폴딩 'SCAFFOLIDING'
비고츠키 이론의 개념 중 중요한 "스캐폴딩", 이것은 아이들이 새로운 기술이나 개념을 배울 때 일시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원은 아이가 능숙해짐에 따라 점차 확장되어 결국에는 독립적으로 그 일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비고츠키의 이론이 인지 발달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까?
- 언어 개발: 비고츠키는 언어가 인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아이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를 배운다고 믿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어른과 대화하거나 큰 소리로 읽은 이야기를 들으면서 새로운 단어와 개념을 배울 수 있다.
- 문제 해결 능력: Vygotsky는 문제 해결 기술이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을 통해 발전한다고 믿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더 지식이 풍부한 성인이나 또래와 함께 상호작용 하면서 퍼즐을 풀거나 과제를 완성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 문화도구: 비고츠키는 책, 컴퓨터, 그리고 다른 형태의 기술과 같은 문화적 도구들이 인지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어른의 도움을 받거나 다른 사람들을 관찰함으로써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책을 읽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전반적으로 비고츠키의 사회문화 이론은 사회적 상호작용, 문화적 맥락, 그리고 아이의 인지 발달을 형성하는 데 있어 더 많은 지식을 가진 다른 사람들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보육교사자격증 2급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테소리 교육에 대한 이해 (0) | 2023.03.25 |
---|---|
보육교사2급 자격증 늦기 '전에 시작하자! '유보통합' 대비 (0) | 2023.03.22 |
유아발달 심리 (0) | 2023.03.22 |
반성적 사고 (0) | 2023.03.19 |
학자들의 반성적 사고개념 (0)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