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SMALL

 

근대 보육사상의 이해 요점

  • 영유아를 어떻게 보육할 것인지는 영유아를 어떠한 존재로 보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짐
  • 코메니우스는 발달적 적합성 강조하고 어린 영유아가 자신의 삶과 관련된 지식을 가장 잘 이해 하 수 있으며 학습은 추상적이기 때문에 구체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여 유아의 놀이를 주요한 교육내용으로 간주함
  • 로크는 백지로 태어난 인간의 마음은 경험을 통해 관념을 획득한다고 보고영유아 개인의 발달은 후천적인 환경의 영향에 의해 달라진다고 봄으로써 영유아가 좋은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학습과 경험을 제공하는 성인의 역할을 중요시함
  • 루소의 교육 목적은 영유아의 자연성 계발과 인위적인 제한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하는 것을 토대로 하고 있음
  • 페스탈로치는 감각을 통한 느낌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을 실시할 때 영유아가 타고난 잠재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함
  • 프뢰벨은 영유아의 자발적인 활동을 존중해 주면 영유아 스스로 내적 동기를 가지고 자연스럽게 자신을 발전시키며 성장시켜 나갈 수 있다고 함

 

현대 보육사상 이해 요점

  • 듀이는 교사가 영유아가 관심을 가지는 주제별 단위를 기본으로 과목별 기초지식을 활용하여 영유아의 문제해결활동과 비판적 사고를 북돋아 주어야 했음
  • 몬테소리는 영유아가 특정 기술이나 행동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학습활동 및 교구를 개발했다.
  • 불교적 관점에서 유아는 미숙하고 어리석은 존재가 아니라 마음이 아직 세속에 물들지 않음 으로써 순수한 마음을 유지하고 있는 이상적 인간으로 본다.
  • 유교적 관점은 유아교육의 목표가 성인의 언행을 본받고 성인의 가치관을 전수받아서 성인이 되는 것이라고 본다.
  • 동학적 관점에서는 성인의 생각을 영유아에게 억지로 강요해서는 안 되며 교육은 영유아가 스스로의 자율성에 따라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이 중요하다고 본다.
  • 보육교사는 영유아와 보육사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영유아  관리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영유아 및 보육에 대한 바람직한 관점을 가져야 한다.
728x90
반응형
LIST